
즐거운 감탄을 하고 왔습니다. 파격적으로 자연스러운 공연스타일도 그렇지만,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어서 좋았습니다. 요새 인간에 대해 냉소적인 공연과 비극적인 공연을 많이 보는 바람에 마음이 무거웠는데 이 공연으로 훈훈한 마음을 품을 수 있게 됐네요.
이게 바로 진짜 리얼리즘

(C) 서울국제공연예술제, Vivarium Studio
'이래도 되나?' 혹은 '이게 뭐야??'라는 생각이 들만큼 "세르쥬의 효과"는 현실 같은 연극입니다. 무대는 소박하지만 있을 건 다 있습니다. TV, DVD 플레이어, 오디오, 책, 탁구대 등등. 진짜 과자, 피자, 와인에 진짜 자동차까지 등장합니다. 조명은 형광등입니다. 그러나 과장된 연기, 관객을 의식한 연기는 없습니다. 배우들의 얼굴보다 등판을 훨씬 더 많이 본 것 같습니다. 특별히 기승전결로 맺어지는 이야기도 없습니다. 그냥 일상의 한조각을 보여줄 뿐입니다. 지난번에 본 "도쿄노트"와 비슷한 느낌도 있는데요. "도쿄노트"가 엿듣는 느낌이었다면 "세르쥬의 효과"는 벽에 구멍 뚫어 놓고 엿보는 느낌이랄까요.
세르쥬는 일요일 마다 친구들을 집에 초대해 공연을 보여주는 것이 취미입니다. 이름도 거창하죠. "헨델 음악에 맞춘 회전효과" "바그너 음악에 맞춘 빛의 효과" "존 케이지 음악에 맞춘 레이저 효과" "빅 체스넛 음악에 맞춘 폭죽 효과"와 같은 것들입니다. 근데 거창한 이름에 비해 공연은 너무나 허접합니다. RC카에 폭죽을 꽂고 달린다거나 음악에 맞춰서 헤드라이트를 깜빡거리는 정도죠. '이게 뭥미?' 하는 어색한 공기가 객석에도, 무대에도 형성됩니다. 하지만 바로 이 일상적인 어색함, 그 어색함이 주는 간격이 이 공연의 웃음포인트이자 관전포인트입니다. 별 내용 없는 이야기지만 보는 내내 킥킥거릴 수 있었습니다. 간간히 폭소도 터지구요. 어쩜 이렇게 만들 수 있는지. 연출자의 연출력과 세르쥬의 연기력이 놀라울 뿐입니다.
세르쥬의 친구들은 한국에 와서 모집한 일반인들이라고 합니다. 언제나 공연하는 도시에 가서 친구들을 모집한다고 하네요. 연습도 거의 안했고 특별한 대사도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연극적 연기가 아닌 일상의 모습이 나올 수 밖에 없겠죠. 세르쥬가 친구들을 어찌나 멋지게 받쳐주던지 전혀 튀지가 않더군요. 세르쥬도 일반인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길 정도로 말이죠. 이런 연기가 더 어려운 법인데 대단하더라구요.(저도 세르쥬 친구에 지원해보고 싶었는데 대학원 입시의 압박으로 ㅠㅠ)
소통하고자 하는 세르쥬

(C) 서울국제공연예술제, Vivarium Studio
세르쥬는 어설픕니다. 세르쥬의 공연도 어설픕니다. "세르쥬의 효과" 라는 연극도 왠지 어설픕니다. 그런데 그런 세르쥬를 보고 있으면 미소가 지어집니다.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왜 그럴까요? 아마도 세르쥬가 어느 이야기 속 멋진 주인공의 모습이 아닌 우리의 모습과 더 닮아 있기 때문 아닐까요? 그리고 소통하려고 하기 때문 아닐까요?
세르쥬는 매주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지만 그다지 활발하거나 대인관계가 썩 좋아보이지는 않습니다. 친구들과도 그다지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않구요. 다만 소통을 위해 나름의 방식으로 노력합니다. 바로 공연이죠. 공연이 썩 멋지지는 않지만요. 어쨌건 친구들은 세르쥬의 공연을 계기로 모이게 됩니다. 모여서 얘기하고 와인을 마시고 피자를 먹습니다. 어색하지만 즐거워보입니다. 왠지 훈훈합니다.
세르쥬는 관객들과도 소통을 시도합니다. '금강제화' '롯데리아' 'GS홈쇼핑' 같은 한국의 상호를 대사 속에 등장시키고, 간단한 대사는 한국말로 합니다. "빨리요" "배웅해줄게" "뭐 좀 마실래?" "코트 받아줄게" 와 같은 말들입니다. 별거 아닌데 재밌고 기분이 좋습니다. 최대한 관객 눈높이에 맞추는거죠. 현지 일반인 친구 모집도 그런 맥락일 겁니다. 실제로 객석 반응도 좋았구요. 긴 대사는 일반인 출연자가 통역하는 방식을 택해서 자막 사용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다가가고 싶지만 어색해 하고 방법을 모르는 게 현대인의 모습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래서 점점 단절되어가는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꼭 세련된 방법이 필요한 걸까요? 소통을 위한 노력과 마음가짐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세르쥬처럼 투박하게라도 시도해보는 게 어떨까요.
이 포스트에 쓰인 이미지는 모두 인용의 목적으로 쓰였습니다.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서울국제공연예술제, Vivarium Studio, Martin Argyroglo에 있음을 밝힙니다.
2009/11/20 11:54
2009/11/20 13:49
2009/11/20 13:40
2009/11/20 13:51
2009/11/20 18:04
정말 리얼리티군요..+_+
2009/11/20 18:08
그냥 좀 어이없어서 킥킥대게 되는데
보고나면 어? 하는 뭐 그런...^^;
2009/11/20 21:19
2009/11/20 23:12
직접적으로 관객을 끌어들이거나 하는 부분은 없지만 공감대형성이라든가 하는 부분에서 소통한다고 생각했어요^^
2009/11/21 13:41
저도 훈훈함을 함께 느끼고싶어요~~
2009/11/21 17:12
2009/11/22 17:59
연극을 좀 봐야 하는데 요즘은 못보고 있어요ㅠㅠ
2009/11/22 18:30
2009/11/23 15:06
어색해하지만 꾸준한 소통을 하려는 모습이 좋아보여요.
2009/11/23 15:57
2009/11/24 16:39
또다른 나를 볼수있는 계기도
될것같고^^
2009/11/24 17:17
2017/08/20 13:10
facts to us, keep it up.
2017/08/20 14:13
I'm hoping to start my own blog soon but I'm a little lost on everything.
Would you propose starting with a free platform like Wordpress or
go for a paid option? There are so many options out there that I'm completely confused ..
Any recommendations? Thanks a lot!
2017/08/20 14:15
for visitors.
2017/08/21 16:16
blog? Its very well written; I love what youve got to say.
But maybe you could a little more in the way of content so people could connect with it
better. Youve got an awful lot of text for only having 1 or two images.
Maybe you could space it out better?
2017/08/27 08:52
this site, and your views are nice designed for new users.
2017/09/28 07:27
2017/10/01 03:39
thought I might check things out. I like what I see so now i am following you.
Look forward to looking into your web page for a second time.
2017/10/06 19:21
2017/10/08 13:14
and starting a new project in a community in the same niche.
Your blog provided us useful information to work on.
You have done a marvellous job!
2017/10/09 17:39
Keep up the great works guys I've included you guys to
my own blogroll.
2017/10/10 17:22
2017/10/25 17:04
blogging platform out there right now. (from what I've read) Is that what you're
using on your blog?
2017/12/13 16:42
I am reading this fantastic piece of writing to improve my
know-how.
2018/04/16 13:53
writers? I'm planning to start my own site soon but I'm a little lost on everything.
Would you suggest starting with a free platform like Wordpress or go
for a paid option? There are so many choices out there that I'm completely confused ..
Any suggestions? Appreciate it!